예고된 위험, 무너진 신뢰
지난 광명 지하터널 붕괴 사고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합니다. 붕괴 사고의 15시간 전, 이미 ‘붕괴 우려’가 제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충분히 경고받지 못한 시민들은 불안 속에 살고 있습니다. 그날의 상황은 단순한 기둥의 균열을 넘어 심각한 구조적 파손이 드러났습니다.
철저하지 못했던 초기 대응
시공사인 포스코 이엔씨가 국가철도공단에 제출한 보고서에는 아치형 터널의 콘크리트 기둥이 심각하게 파손된 사진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최초 상황은 밤 9시 50분에 발생했지만, 관계 기관에 신고가 된 것은 2시간 반이나 지나서였습니다. 그 사이 교통 통제와 같은 중요한 조치들은 지연되었습니다.
주민들의 불안과 대피
사고 발생 후, 인근 주민들은 한밤중에 긴급 대피를 해야 했습니다. 피신한 주민들은 그날 밤의 충격에서 아직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자정을 넘어 대피령이 해제된 이후에도 그들의 불안감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경기 광명시 주민 신율섭 씨는 “공사 소리와 함께 이런 일이 생겨 무섭다”라고 전했습니다.
공급의 중단, 이어지는 불편
붕괴 사고 이후 전기와 가스 공급이 중단되었습니다. 사고 발생 직후 대부분의 지역에는 다시 공급이 되었지만, 일부 상가는 여전히 가스가 나오지 않아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또한 인근 마을은 단수로 인해 급수차가 동원되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광명시의 대응과 시민 안전의 중요성
광명시는 경기도와 함께 정밀 합동점검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민들이 직접 공사 현장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시민안전대책위원회’를 구성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시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고, 앞으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입니다.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이번 사고는 안전 관리의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워주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사전에 예측 가능한 위험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졌다면, 이러한 파국적인 결과를 막을 수 있었을 것입니다. 이제 우리는 이 사고를 교훈 삼아 더욱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