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연합훈련 ‘자유의 방패’ 분석: 업그레이드된 시나리오와 안전성 고려

한미 연합훈련 ‘자유의 방패’의 새로운 전개

한미 연합훈련의 시작: ‘자유의 방패’

내일부터 시작되는 ‘자유의 방패'(FS) 연합훈련은 한미 군사 협력의 중요한 이정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번 훈련은 두 나라가 공동의 방위 태세를 강화하기 위해 매년 시행하는 방어적 군사 훈련의 일환으로, 새로운 전략적 요소들을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업그레이드된 시나리오와 현실적 위협 반영

이번 FS 연습은 작년보다 업그레이드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진행됩니다. 한미 군 당국은 북한의 군사 전략과 전술 변화, 그리고 북러 군사협력 등 현실적인 위협을 시나리오에 적극 반영했습니다. 특히, 드론을 이용한 공격 가능성과 북한의 러시아 파병 이후 변화된 안보 환경 등이 중점적으로 고려되었습니다.

확대된 연합 야외 기동훈련

이번 훈련에서는 연합 야외 기동훈련의 규모가 대폭 확대되었습니다. 지난해 10건이었던 여단급 기동훈련은 올해 16건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동맹의 상호운용성을 향상시키고 강화된 연합 억제 능력을 현시하기 위함입니다. 지·해·공, 사이버, 우주 등 전 영역에 걸쳐 다양한 훈련이 진행됩니다.

훈련의 제약: 실사격 훈련 금지

그러나 최근 발생한 ‘전투기 오폭’ 사고의 여파로 인해 실사격 훈련은 이번 연합훈련에서 금지되었습니다. 지난 6일 발생한 사고는 KF-16 전투기 2대가 훈련장이 아닌 민가에 폭탄을 투하한 사건으로, 이는 훈련의 안전성을 다시금 검토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공군은 감시와 정찰 등 필수 유지 전력을 제외한 모든 항공기에 대해 ‘비행 금지’ 조치를 내렸으며, 이는 한미 연합 공중훈련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미래의 방향: 안전과 효과성을 동시에

이번 ‘자유의 방패’ 훈련은 한미 양국이 공동의 방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시점입니다. 그러나 이번 사고를 통해 훈련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교훈을 얻었습니다. 향후 연합훈련에서는 이러한 안전 문제를 철저히 검토하여 사고를 방지하고, 효과적인 훈련을 통해 동맹의 군사적 억제력을 더욱 강화시켜야 할 것입니다.

내일부터 한미 FS 연합연습…'전투기 오폭'에 실사격은 금지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guest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