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교체 논란의 시작
국회 청문회 도중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발언이 뜨거운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청문회에서 최 부총리는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휴대전화를 교체한 적이 없다는 발언을 했다가, 자료가 제시되면서 입장을 번복했습니다. 이로 인해 위증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자료로 드러난 사실
더불어민주당 김용민 의원은 국제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최 부총리에게 비상계엄 이후 휴대전화를 교체했는지 물었습니다. 처음에는 부인했지만, 정청래 법사위원장이 통신사에서 확보한 자료를 제시하며 그의 주장을 반박했습니다. 자료에 따르면 최 부총리는 계엄 직후인 2024년 12월 7일에 휴대전화를 교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 부총리의 사과와 해명
자료가 제시되자 최 부총리는 당황한 기색을 감추지 못하며, “정확한 날짜를 기억하지 못했다”며 사과했습니다. 그는 “위증할 의도는 전혀 없었고, 고장 난 휴대전화를 교체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해명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의심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국채 보유 논란까지
휴대전화 논란과 함께 최 부총리는 미국 국채 보유와 관련된 질문에도 직면했습니다. 그는 지난해 재매입한 미국 국채에 대한 논란에 대해 “소극적 포트폴리오 추천을 받아 작년 8월에 매입했다”라고 설명하며, 환율 변동과의 연관성을 부인했습니다.
한국 국채에 대한 입장
최 부총리는 또한 한국 국채를 더 많이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외화국채를 구매한 것은 환율 문제와 무관하다”며, 공직자로서의 무게감을 느낀다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해명에도 불구하고, 그의 발언은 여전히 논란의 중심에 서 있습니다.
앞으로의 대응
이번 청문회에서의 논란은 단순한 실수로 치부될 수 있는 문제를 넘어, 신뢰성 문제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최 부총리와 기획재정부는 앞으로의 대응을 통해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공직자들의 발언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상기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