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성근 전 사단장이 주장하는 ‘구명 로비 의혹’의 실체
최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이하 공수처)가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사건과 관련된 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가운데,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자신의 입장을 분명히 하였습니다. 그는 구명 로비 의혹에 대해 “완전히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단언하였습니다.
포렌식 참관 출석 당시의 이슈와 논란
임성근 전 사단장은 포렌식 작업에 참여하면서 과거의 조사 결과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그는 “작년 8월에 이미 상당한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구명 로비 의혹과 관련된 모든 통화 기록과 대화방 참가자에 대한 조사가 이미 이루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휴대전화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해 안타깝다고 밝혔습니다.
박정훈 대령과의 갈등: 양측의 주장
임 전 사단장은 박정훈 대령이 이끈 해병대 수사단의 수사 과정에서 불법이 있었는지를 밝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는 박 대령이 “작전통제권을 육군에 넘겼기 때문에 책임이 없다”는 주장을 하지 말라고 강요했다고 하며, 이에 대해 강요죄로 고소한 사건이 조사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공수처의 수사 방향과 현재 상황
공수처는 해병대 수사단이 임 전 사단장을 채 상병 사건의 책임자로 지목한 뒤 경찰에 넘기는 과정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대통령실, 국방부 관계자들이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수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수사는 계엄 이후 내란 관련 수사에 집중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가 최근 다시 재개되었습니다.
휴대전화 포렌식 작업의 어려움
공수처는 임성근 전 사단장의 휴대전화를 압수했지만,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한다는 그의 주장으로 인해 증거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렌식 작업을 다시 시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결론 및 전망
임성근 전 사단장의 포렌식 참관과 관련된 수사는 여전히 많은 논란과 의문을 남기고 있습니다. 공수처의 앞으로의 수사 방향과 결과에 따라 이 사건의 진상이 밝혀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지만 임 전 사단장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구명 로비 의혹은 실체가 없다는 그의 주장은 더욱 힘을 받을 것입니다.